모르면 나만손해

보건소 산전검사 비용 지원 총정리|여성 13만원·남성 5만원 받는 방법 (2025년 기준)

Mㅔ기 2025. 10. 23. 03:04

임신을 준비하고 있다면 꼭 챙겨야 할 게 있어요.
바로 산전검사 비용 지원제도,

즉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이에요.

산전검사 지원절차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산전검사 얼마나 해요?”, “보건소 산전검사 가능한가요?” 이렇게 검색하시더라고요.
저도 처음엔 몰랐는데, 

여성은 최대 13만원, 남성은 최대 5만원까지 검사비를 지원해준다는 사실!
임신을 앞두고 건강을 점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니까 놓치지마세요

 


1.  지원 대상 & 횟수 —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산전검사 지원 대상은 만 20세에서 49세 남녀 모두예요.
결혼 여부나 자녀 유무와는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또 하나 중요한 포인트!

산전검사 신청대상


이 제도는 생애 최대 3회까지 받을 수 있어요.
나이 구간(주기)에 따라 1회씩 총 세 번이에요.

  • 1주기: 29세 이하
  • 2주기: 30~34세
  • 3주기: 35~49세

예를 들어, 28세 때 한 번, 33세 때 한 번, 37세 때 또 한 번!
이런 식으로 주기마다 받을 수 있습니다.
놓치면 다음 주기까지 기다려야 하니 타이밍이 중요해요.


2.  산전검사 신청방법 — 온라인 or 보건소 직접 방문

산전검사는 무작정 병원 가면 안 돼요.
반드시 먼저 신청 후 검사의뢰서를 받아야 지원이 가능합니다.

방법은 두 가지예요 👇


1.  e-보건소(온라인) → 임신전 산전검사 메뉴에서 신청
2. 거주지 보건소 방문 → 현장 접수

 

신청 후 발급되는 검사의뢰서를 가지고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아야 산전검사 지원금이 지급돼요.

 

이런식으로 진료의뢰서를 프린트해가면 됩니다.

 


전화로 “산전검사 지원사업 참여 병원인가요?” 확인하는 게 가장 확실합니다.

 

 

병원리스트입니다(25년10월1일기준)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참여 의료기관 현황(2025.10.1.기준) (1).pdf
1.03MB


3.  산전검사 지원금 & 청구방법 — 언제, 어떻게 받나?

  • 여성: 최대 13만원
  • 남성: 최대 5만원

이게 바로 실제 산전검사 비용 지원 한도예요.
검사비가 더 나올 경우 초과 금액만 본인이 부담하면 됩니다.

신청 후 바로 청구되는 건 아니고,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청구해야 해요.


이 기한을 넘기면 지원이 불가하니 날짜 꼭 기억하세요.

또한 검사의뢰서 발급일로부터 3개월 안에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늦으면 의뢰서가 만료돼요.

 

 

온라인신청시 영수증,세부내역서꼭 병원에서 발급받아오세요
(보통은 원무과에서 알아서 해주십니다.)


예산이 조기 마감될 수도 있으니 되도록 빨리 신청하는 게 좋아요.


4.  병원 선택 팁

산전검사 항목은 병원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방문 전 아래 세 가지는 꼭 확인해보세요 

  • 사업 참여 의료기관인지
  • 여성은 AMH 검사(난소기능검사), 부인과 초음파가 가능한지
  • 남성은 정액검사 항목 포함되는지

특히 여성의 경우, 초음파만 되고 AMH 검사는 없는 병원도 있어요.
전화로 “보건소 산전검사 가능 병원인지” 꼭 물어보세요.

아니면 위에 올려드린 병원pdf파일에서 확인해보고가시길 바래요

산전검사 비용지원에 대한 사진


 세 줄 요약

1.  산전검사 지원제도는 여성 13만원, 남성 5만원까지 비용 지원!
2.  20~49세 남녀 누구나 생애 3회까지 신청 가능 (주기별 1회).
3.  신청 → 검사의뢰서 발급 → 참여병원 검사 → 1개월 내 청구 순서 필수!